아이들이 사회적 상황 속에서 타인의 마음을 상상하고,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힘은
공감 능력과 사회성 발달에 있어 정말 중요한 요소입니다.
오늘은 그런 능력을 자연스럽게 길러주는 활동,
바로 ‘말풍선 속 마음’ 수업을 소개해 드릴게요!

이 활동의 목적은요?
‘• 사회적 상황을 통해 타인의 감정을 상상하고 이해하는 힘을 기릅니다.
• 다양한 상황 속에서 느낄 수 있는 감정 표현력과 공감 능력을 키웁니다.
• 자신의 감정을 말풍선을 통해 표현하면서 자기표현력도 함께 자라납니다.
어떻게 진행했을까요?
1. 개별 활동: 말풍선 채우기
각 아이들에게 서로 다른 사회적 상황이 그려진 활동지를 하나씩 나누어 주었어요.
예를 들어,
• 친구에게 실수로 물을 쏟았을 때
• 발표 시간에 친구들이 웃었을 때
• 누군가 내 사물함을 몰래 열었을 때
이런 상황 속 주인공의 표정은 어땠을지 상상하며 직접 얼굴 표정을 그려 넣고,그 상황에서 나올 수 있는 말을 말풍선 속에 포스트잇으로 표현해봤어요.
아이들마다 전혀 다른 표정과 말을 적어내며 상상력을 발휘했답니다!

2. 전시 및 감상 활동
완성된 활동지를 벽에 전시했어요.
아이들은 교실을 돌아다니며 서로의 그림과 말풍선을 감상하고,
“내가 이 상황이라면 어떤 말을 했을까?”를 생각하며
포스트잇에 자신의 생각을 적어 붙이는 활동을 진행했어요.
서로 다른 감정을 비교해 보며
“아, 저 친구는 이렇게 느꼈구나”, “나는 이럴 때 화가 났을 텐데 저 친구는 슬펐구나”
같은 말이 오가며 자연스럽게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는 대화가 생겨났어요.
3. 마무리 발표 시간
활동의 마지막은 자신의 활동지 앞에서 느낀 점을 발표하는 시간이었어요.
“저는 이 상황에서 부끄러웠을 것 같아요.”
“말풍선에 ‘괜찮아요!’라고 쓴 친구도 있었는데, 전 좀 속상했을 것 같아요.”
이 발표를 통해 아이들은 자기 감정을 말로 표현해보고,
다양한 반응이 모두 괜찮다는 걸 받아들이는 경험을 하게 되었습니다.

이 활동의 기대 효과는요?
• 공감 능력 향상
→ 친구들의 표현을 통해 다양한 감정에 대해 배우고 공감하게 돼요.
• 자기표현력 발달
→ 말풍선을 통해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해볼 수 있어요.
• 타인 이해 능력 강화
→ 같은 상황에서도 느끼는 감정이 다를 수 있다는 걸 자연스럽게 배워요.
• 감정 언어 사용 증가
→ ‘슬퍼요’, ‘민망했어요’, ‘화가 났어요’ 같은 감정 단어를 익히고 사용할 수 있어요.
준비물
• 사회적 상황이 그려진 활동지
• 포스트잇 (말풍선용 + 감상용)
• 필기 도구, 테이프
마무리하며
‘말풍선 속 마음’ 활동은 단순한 미술 시간이 아닌,
아이들의 감정 표현과 타인 이해를 돕는 깊이 있는 사회성 활동이었습니다.
자신의 감정을 말로 풀어내고,
친구의 마음을 상상해보는 이 과정을 통해
아이들은 마음을 나누는 법을 배워나가고 있어요.
교실 속 작은 말풍선 하나하나가
따뜻한 마음의 연결선이 되었던 하루였답니다.
다음에도 감정과 관계를 키워주는 활동으로 돌아올게요!
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
Apple 2024 아이패드 mini A17 Pro - 태블릿PC | 쿠팡
현재 별점 4.8점, 리뷰 863개를 가진 Apple 2024 아이패드 mini A17 Pro! 지금 쿠팡에서 더 저렴하고 다양한 태블릿PC 제품들을 확인해보세요.
www.coupang.com
Apple 정품 2024 아이패드 프로 11 M4칩 스탠다드 글래스 - 태블릿PC | 쿠팡
현재 별점 4.8점, 리뷰 1252개를 가진 Apple 정품 2024 아이패드 프로 11 M4칩 스탠다드 글래스! 지금 쿠팡에서 더 저렴하고 다양한 태블릿PC 제품들을 확인해보세요.
www.coupang.com
"위 링크는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"
파일첨부해요 ◡̈








'아동 청소년 상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신문지 비가 내려요 / 유아, 발달 장애 아동을 위한 감각미술놀이 프로그램 (0) | 2025.04.10 |
---|---|
사회성 빙고 / 청소년 집단 사회성 프로그램 (2) | 2025.04.01 |
지퍼백 물감놀이 (0) | 2025.03.12 |
사회성 윷놀이 / 청소년 집단 사회성 프로그램 (1) | 2025.02.13 |